거북선이 임진왜란 이후 18세기 조선에서 사용됐다는 사실, 잘 모르실 텐데요. <br /> <br />국내 연구자가 18세기 거북선 건조에 사용됐던 설계 자료를 발굴하고 이를 토대로 컴퓨터 그래픽 모델로 복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임진왜란 당시 왜란 종결의 핵심 역할을 한 이순신 장군의 거북선. <br /> <br />거북선은 왜란 이후 18세기에도 조선 수군의 핵심 역할을 해왔지만, 당시 모습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자가 1795년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귀선도설이 19세기 거북선 건조의 설계 자료라는 점을 사료를 통해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설계 자료를 토대로 228년 만에 18세기 거북선을 축소 모형과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1/65 축소 모형입니다. <br /> <br />3층 갑판의 길이가 85척(26.6m)으로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보다 1.3배 길이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1795년 거북선의 또 다른 특징은 3층의 지붕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알려진 거북선은 3층 갑판 전체를 철로 둥글게 씌운 형태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복원 거북선은 갑판의 중앙 부분은 목재로 높이 세우고 좌우 양쪽 갑판을 철재로 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채연석 / 거북선 복원 연구자 : 이렇게 하면 목재도 적게 들고 무게도 가볍고 포를 설치해서 좌우로 충분히 발사할 수 있는데, 전체를 덮는 것은 거의 이익이 없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를 한 채 박사는 거북선의 구조를 변경하려면 임금에게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도 갑판이 이와 같은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2층 배 앞쪽에 대형함포 3대와 3층 좌우에 24대 등 모두 31대의 포가 설치됐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거북선에는 182명의 수군이 탑승했으며 이들이 한 달간 사용할 군량미 61석이 1층 창고에 실렸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31913101932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